2020년 | 2019년 | 2018년 | 2017년 | 2016년 | 2015년 | 2014년 | 2013년 |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서울시 | 6월 13일 | 6월 15일 | 6월 23일 | 6월 24일 | 6월 25일 | 6월 13일 | 6월 28일 | 8월 24일 |
지방직 | 6월 17일 | 6월 17일 | 6월 18일 | 6월 27일 | 6월 21일 | 7월 27일 | ||
보건의료인 국가고시 |
보건/의료 채용전망 | 12월 22일 | 12월 23일 | 12월 24일 | 12월 13일 | 12월 7일 | 12월 8일 |
[뉴스] ‘국가암데이터센터’로 국립암센터 지정 | ||
---|---|---|
올린이: 관리자 | 조회: 1,439 | |
![]() - 암 관련 정책수립, 연구 등 공익적 목적에 따라 데이터 수집·처리·분석·결합 등 암데이터사업 전담 수행 - 보건복지부는 암데이터사업을 위탁받아 전담하여 수행할 국가암데이터센터로 국립암센터를 지정하였다고 밝혔다. 국가암데이터센터는 「암관리법」에 따라 정책 수립·연구 등 공익적 목적에 따라 암 관련 데이터를 수집, 처리, 분석 및 제공하는 암데이터사업을 위탁 수행하는 기관이다. < 국가암데이터센터 주요 업무(암관리법 제18조의2) > - 암데이터사업을 위한 시설, 장비, 조직의 구축 및 운영 - 암데이터사업을 위한 조사 및 기획 - 암데이터사업을 위한 자료의 수집, 결합, 분석 및 제공 - 암데이터사업의 수행을 위한 세부지침과 절차의 마련 - 암데이터사업의 수행을 위하여 처리하는 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- 그 밖에 암데이터사업과 관련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업무 보건복지부는 국가암데이터센터 지정기관 공모를 거쳐 관련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지정심사위원회 심사를 통해 국립암센터를 최종 선정하였으며, 국립암센터는 향후 3년 간 암데이터사업을 전담 수행하게 된다. 국립암센터는 「암관리법」 제27조에 따라 설립·운영 중인 공공기관으로, 산하에 연구소·병원·국가암관리사업본부·국립암대학원대학교를 같이 두고 있다. 따라서 연구 및 임상진료 통한 각종 암 관련 데이터가 구축되어 있는 점, 암 예방·검진·환자 관리 등 국가암관리사업과 암 관련 전문인력 양성 등 정책 수행 경험이 풍부한 점 등을 고려할 때, 향후 암데이터를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적임 기관으로 평가받았다. 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“이번 국가암데이터센터 지정을 계기로 암 관련 다양한 데이터를 원활하게 수집·처리·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.”고 평가한 후, “앞으로 국립암센터가 국가암데이터센터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여 암에 대한 국민들의 경제적·사회적 부담을 해소하는 데 적극 기여하는 한편, 지난 3월에 수립한 제4차 암관리종합계획에 따른 ‘암 빅데이터 활성화’ 과제도 원활히 이행하기를 기대한다.”라고 밝혔다. |
“뿌리 깊은 나무는 흔들리지 않습니다.”
누드고시는 1998년부터 의료기술직만을 교육해온
‘진짜 전문가’라는 자부심으로 여러분과 함께합니다.